77 0 0 0 13 0 3개월전 0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108선

과정중심, 현장중심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 서문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108선(Problem Solution Framework 108)’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비즈니스에서 필요하고 마땅한 프레임워크가 없는 것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가운데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에 대한 선택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지난 2020년 『디자인씽킹 퍼실리테이션』 도서를 출간한 이후 본 도서의 집필을 시작하였습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집필을 이어가 끝내지 못하고 미루어 두던 차에 사이버대학교 1학기를 마치고 그동안 미뤄두었던 본 도서의 집필을 이어가기로 마음먹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디자인씽킹, 퍼실리테이션, 문제해결, 갈등조정 등 관련 분야에서 현장 활동을 통해 활용하고, 얻게 된 ‘과정중심..
◆ 서문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108선(Problem Solution Framework 108)’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비즈니스에서 필요하고 마땅한 프레임워크가 없는 것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가운데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에 대한 선택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지난 2020년 『디자인씽킹 퍼실리테이션』 도서를 출간한 이후 본 도서의 집필을 시작하였습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집필을 이어가 끝내지 못하고 미루어 두던 차에 사이버대학교 1학기를 마치고 그동안 미뤄두었던 본 도서의 집필을 이어가기로 마음먹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디자인씽킹, 퍼실리테이션, 문제해결, 갈등조정 등 관련 분야에서 현장 활동을 통해 활용하고, 얻게 된 ‘과정중심, 현장중심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여러 기법을 담아 이제 그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기업경영 전략에 관한 컨설팅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입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경영전략에 활용되는 다양한 프레임워크들이 꾸준히 탄생하였습니다. 기업에서 활용하는 프레임워크는 상대 기업과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성공 요인을 찾고, 어떤 전략을 선택하여 결정하고, 미개척 시장을 탐색하기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프레임워크는 조직관리부터 전략 수립이나 문제해결 등 경영 실무를 돕는 것까지 기업경영에 필요한 여러 요구사항에 맞춰 계속 발전했습니다. 기업은 물론 기관, 단체, 지자체, 지역사회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 현장에서 요구되는 문제해결과 갈등 조정, 공동체 활성화 등을 위한 방법론으로 프레임워크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프레임워크(Framework)는 사물을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기본 개념 구조입니다. 세기를 넘어 고전적 기법에서부터 최근에 유행하는 기법까지 실로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등장합니다. 사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아무 단서 없이 처음부터 독자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런 때 기존의 문제해결 방식을 알고 있으면 쉽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책을 구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가 조직과 개인의 분석 시간을 단축시켜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도와줄 것입니다.

이 책은 세기를 넘어 발생한 기존의 기법들을 현장에서 경험한 전문가의 입장에서 조직관리, 전략 수립, 문제해결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108선’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실제로 경험한 일들과 성공적으로 적용한 방법들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이 책을 쓰면서, 많은 기업과 현장에서 평소에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습니다. 이 책은 각 분야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와 지식을 담고 있으며, 더 나은 업무 운영과 성과 개선을 위한 방법론과 예시를 제공합니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째, 문제해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문제해결은 모든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고 해결책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책에서는 문제 도출과 시장 분석, 아이디어 발산 및 전략 방향 설정 등의 과정을 다루며,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둘째, 갈등 관리와 조직 활성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모든 조직에서 갈등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은 상호 간의 이해와 협력을 통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갈등 해결 방법과 함께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 강화와 참여도 향상, 협업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합니다. 셋째, 업무개선과 조직과 개인 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책에서는 업무 프로세스 분석과 개선 방법, 그리고 조직 구성원들의 능력과 역할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 등에 대해 다룹니다. 또한 개인적인 성장을 위한 관리 방안과 팀 내에서의 역할 분담, 의사결정 방법론 등도 제시됩니다.

이러한 내용들을 모두 담은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108선’은 실제 현장에서 경험한 내용과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 제시하는 체계적인 방법론 및 예시들은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며, 독자들이 바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입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비즈니스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조직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며 성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또한 각 분야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자료를 제공하여, 비즈니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108선북’은 현재와 미래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필요한 전략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 개발과 참여도 향상, 그리고 협업문화 조성 등에 대한 내용도 다룹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업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조직 내에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이 책의 저자로서 굉장히 자랑스러운 마음으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많은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책을 출간하고자 합니다. 다시 한번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108선’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25년 1월 15일
최용진
저자 최용진 崔龍鎭 Choi Yong-Jin 010-4993-3291
충청남도 서천군 출생

한국퍼실리테이션협회 이사장
한국퍼실리테이터협회 협회장
농어촌퍼실리테이터협회 협회장
서울평생교육진흥원 이사장
한국생명존중협회 이사장
한국평생교육강사협회 협회장
한국스포츠지도자협회 이사장
한국지역활동가협회 협회장

(전)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특임교수
(전)사회복지법인 세종중앙 법인 사무처장
인사혁신처 제2기 ~ 제3기 국민참여정책단
민간위탁교육 문제해결전문가 양성과정 책임강사
민간위탁교육 퍼실리테이터 양성과정 책임강사
도시계획 주민참여회의 및 농어촌신활력플러스사업 워크숍 총괄 퍼실리테이터
농어촌활성화사업 역량강화 교육 강사, 화성시민대학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 강사
은평구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동체촉진가 및 열린 마을 강좌 소통강사
원주시농촌활성화지원센터 현장포럼 교육 강사, 경북SOS랩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 강사
파크골프지도자, 파크골프경기심판 양성과정 교수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전공 석사 졸업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평생교육학과 복수전공 졸업
군산상업고등학교 제37회 졸업(현, 군산상일고등학교)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